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이 동영상은 대구에서 열린 공학교육페스티벌 참가를 위한 소계 영상이며 학교에서 모든 비용을 다 부담해서 호텔 자고 먹고 KTX왕복으로 태워줘서 돈 한번 안쓰고 돌아왔습니다. (밤에 빠저나가서 술먹을려고 했으나 같이 참여한 형이 롤를 하는 바람에 늦게 나갔더니 먼저 온팀들이 싹쓸이 해서(마켓 소주도 다팔림) 골목길을 새벽2시까지 돌아다니다 숙소로 돌아왔다.)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파워를 때어버리고 무선으로 구동 하기위해 12V 베터리를 직렬로 연결하여 24V로 만들어서 모터 구동을 하였고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등 보드는 보조 베터리로 전원 연결 동영상을 옆에 빨간 LED 불빛이 있는데 블루투스 안테나 입니다. 구동은 바퀴, 팔, 손목, 손가락 구동이 되며 포텐셜미터가 사용된곳은 팔, 손목, 손가락 이며 실험결과 약 5Kg 무계까지 들어올릴수 있으며(손가락이 파괴되면 안되서 더 실험 안했음) 이번 동영상은 계란을 깨지지 않는것을 보여주기 위해 계란잡기 테스트를 한 동영상 입니다. 동영상을 보시면 많이 버벅거리는데 처음 만든거라 조종 쉽지가 안았습니다.
제어는 DIY IoT 블로그 주인 했습니다. 궁금하시다면 가끔 왔다갔다 하는것 같으니 글남겨 보세요 (http://diyiot.xyz/)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제어 담당이 만든 조종키 및 카메라 구동)
이때가 2차 발표가 있어 시범구동을 위해 급하게 조립했던것 같다.
이때는 아직 베터리 대신 파워를 연결하여 전원 공급을 하였고 팔, 손목, 구동부 구동만 할수있게 하였고 조종은 라즈베리파이와 WIFI로 연결하여 스마트폰 구동을 하였다.(제어담당이 아니여서 잘몰름) 다음에 동영상을 올리겠지만 이때 시범구동 하였을때 신호 딜레이 등 문제가 많아 블루투스 제어로 바꿨다.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위한 물체 픽업용으로 제작이 되었기에 실외보단 실내에서 사용이 많이 될것이란 예상을 하여 좁은 공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는 구조가 필요 하였다.
차륜구동형, 체인형 등 조사하여 많은 구조를 찾을수 있었고 우리가 선택한것은 전방향 이동바퀴인 메카넘 휠을 선택 하였다.
시장조사에 가장 문제였던것은 우리가 필요한 스팩의 바퀴 가격이였다. 국산 휠도 있었지만 아직 많이 알려진 바퀴가 아니여서 그런지 가격이 무지 비쌌다.(교육용 바퀴는 싸서 살만하다.) 우리는 외국으로 눈을돌려서 택배비를 포함해도 가격이 저럼한(모터는 국내에서 따로 구매) 중국산으로 구입을 하였다.
이 동영상은 택배도착과 동시에 조립하여 구동실험을 한것이다.
매카넘 휠 추가 정보
1973 년 스웨덴의 Mecanum AB라는 회사의 엔지니어 인 Begt Ilon이라는 사람이 발명 한 바퀴의 일종. 전체 휠에 비스듬이 아이들 롤러를 장착하여, 바퀴가 회전하는 방향이 아니라,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 이도록 고안된 바퀴. 이 후 1980 년대 미 해군이 특허권을 획득하여 1990 년대 Airtrax 사 등 많은 회사들이 상용 차량에 장착하여 각 종 물류 시스템에 사용.